유엔이 2025년 3월 21일, 사상 최초로 ‘세계 빙하의 날(World Glacier Day)’을 개최하고, 지구촌의 급속한 빙하 소멸에 대한 전 지구적 경고와 공동 대응을 촉구했다. 유엔 본부 내 신탁통치이사회 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회의는 기후 위기를 넘어선 생존의 문제로서 빙하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한 국제적 전환점이 됐다. 유엔 총회 의장 필레몽 양(Philémon Yang*은 개막 연설에서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 빙하가 모두 사라지기 전에 행동해야 한다”고 경고했다.행사가 열린 신탁통치이사회 회의실은 과거 식민지 해방을 논의하던 상징적 공간으로, 이번엔 지구 생태계 보존을 위한 새로운 국제 협력의 상징으로 재조명됐다. 개회식의 포문은 중앙아시아 산악 국가 타지키스탄의 외교부 장관 시..
ECO/Climate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에 위치한 알토 오스피시오는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한 도시 중 하나다. 그러나 이곳의 인구는 14만 명을 넘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1만 년 동안 비로 보충되지 않은 지하수층에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다. 하지만 이 도시는 또 하나의 중요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안개’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알토 오스피시오 인근 산악 지대에 안개 수집 장치를 설치하면, 매일 1제곱미터당 평균 2.5리터의 물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안개 수집 장치는 두 개의 기둥 사이에 촘촘한 망을 설치한 구조물로, 대형 장비의 경우 약 40제곱미터 크기로 제작된다. 이러한 대형 안개 수집 장치는 대당 1,000달러에서 4,500달러의 비용이 들지만,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연간 36,5..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서 1월 기온으로는 역대 최고 기온이 관측됐다. 극지연구소(소장 신형철)는 지난 1월 1일 장보고기지에서 영상 8.1℃의 기온이 기록되며, 기존 1월 최고 기온이던 2021년의 6.7℃를 1℃ 이상 초과했다고 밝혔다.또한, 1월 한 달 동안 일 최고 기온이 7℃를 넘은 날이 네 차례나 발생했으며, 월평균 기온 역시 영하 0.3℃로 역대 최고치였던 2020년 12월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다. 남극 장보고기지, 눈 녹아 물웅덩이 형성…이례적 고온 현상 지속장보고기지의 이상 고온 현상은 기지 내에서도 뚜렷하게 감지되고 있다. 제12차 월동연구대 총무 한지현 연구원은 “기지 주변에 쌓인 눈이 예전보다 확연히 줄었고, 특히 눈이 빠르게 녹으면서 건물 주변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기후변화로 인해 빠르게 녹아내리고 있는 남극의 게츠 빙하를 보호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석학들이 인천에 모였다. 극지연구소(소장 신형철)는 2월 11일부터 3일간 인천 송도에서 ‘남극 게츠 빙하 국제 협력 연구 워크숍(GOAT, Getz-Ocean interactions: sentinel of Antarctic Transition to a warming climate)’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게츠 빙하의 가속화된 빙하 유실 원인을 분석하고,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이를 해결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각국 정부와 연구기관이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이번 워크숍의 핵심 목표다. 세계적인 빙하 연구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게츠 빙하의 과거, 현재, 그리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월요일, 미국을 파리 기후 협정에서 다시 한 번 탈퇴시킬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는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에 타격을 주고 미국을 가장 가까운 동맹국들과 다시 한 번 거리를 둘 것이라고 말했다.트럼프 대통령이 연임에 선서한 날 발표된 이 발표는 2017년 미국이 글로벌 파리 협정을 포기할 것이라고 발표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반영한 것이다. 이후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으로 파리기후협정에 다시 합류했었던 바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일련의 행정 조치에 서명하면서 “나는 불공정하고 일방적인 파리 기후 협정에서 즉시 탈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유엔에 자신의 결정을 알리는 서한에 서명했다.이 협정은 장기적인 지구 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화씨 2.7도..

환경, 기후, 동물권, 종자, 인권등의 스터디를 시작한지도 4년이 되었다. 관련 지원금을 받기도 하고 저자와의 대화도 진행하고 했었는데 그동안 발제한 내용들이 좋고 많이 쌓였는데그냥 흘려보내기 아까워서 블로그에 모을 생각이다 서울, 강남에서 격주로 모이니 관심 있으면 참석 환영합니다 식량 자급률의 중요성 1970년 79.5%이던 한국의 식량자급률(칼로리 기준)은 지난해 32%로 해마다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곡물 자급률도 2021년 기준 20.9%로 매년 낮아지고 있다. 경지면적도 해마다 줄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경지 면적은 152만8000㏊로 2012년 이후 10년 연속 감소세다. 우리나라의 식량 안보 경쟁력은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글로벌 정치·경제 분석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