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Tech, AI, ECO, etc
· ECO/Climate
올 한해를 돌아보면 지속가능성을 향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한국은 그 속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할 이니셔티브를 수립했다. 그러나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불명예스럽게 ‘오늘의 화석상’을 수상하는 등 재생에너지 정책을 강하게 비판받았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정부의 역할과 계획이 무엇이 있을지 짚어봤다. 신재생에너지: 관성에 대한 투쟁 세계 8위 전력시장인 한국은 재생에너지 전환의 중요한 시점에 서 있다. 현실은 미묘하지만 경제적 위상과 기술력은 재생에너지 전환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우리나라는 약 90%의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믹스는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은 그리드 인프라의 한계로 인해 풍력발전의 낭비, 재생사업 허가 취득의 관료적 복잡..
· ECO/Ecolife
서울시가 내년 1월 27일부터 서울시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 첫선을 보일 예정입니다! 기후·교통 환경변화에 맞춘 친환경 교통혁신 정기권으로 따릉이까지 횟수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어요. 다만 신분당선과 인천경기 광역버스와 심야버스는 제한됩니다. 사업 시작과 함께 서울 지역 내 지하철 1~9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서울~김포공항까지 모든 지하철에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신분당선은 요금체계가 상이하다는 이유로 서울구간 내라도 이용이 제한된다. 1월 23일부터 모바일카드를 내려받거나 실물 카드를 구매할 수 있어요. 금액은 따릉이 이용 여부에 따라 6만2천원권, 6만5천원권 2종으로 출시됩니다.
· ECO/Alt Meat
벨기에에 기반을 둔 미래지향적인 정밀 발효 스타트업인 팔레오는 육류 대체 산업에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 회사는 동물이 없는 효모를 사용해 미오글로빈을 생산하는 특허를 제출했는데, 이는 식물성 고기, 해산물 및 애완동물 사료의 급성장하는 시장으로 확장할 발판을 마련했다. 애완동물 사료 용도 특허 제출 그들의 최근 특허 제출은 효모에서 추출한 미오글로빈을 애완동물 사료에 사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계획은 애완동물 사료에서 보다 자연스럽고 영양가 있는 선택지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활용하여 애완동물에 대한 기호성과 수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오글로빈: 진정한 고기 맛과 영양의 열쇠 포유류의 근육세포에 존재하는 헴 단백질인 미오글로빈은 산소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데 중요한 역할..
· AI/AI
이번에 ChatGPT 4를 사용하게 되면서 특정 분야의 주제를 학습시킨 챗봇을 만들었다. 와인에 대한 관심이 있으니, 와인 관련된 내용으로 만들겠다고 던지면, 설명을 죽 해준다. 이름과 프로필 사진까지 알아서 만들어준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이름을 바꾼다. 그렇게 탄생한 와인 구루 봇! 와인 관련한 전문서적, 양조, 테이스팅의 정보를 담은 책을 여러권 학습시켰고 결과값이 바로바로 출력되는 걸 볼 수 있다. 여기서 chatGPT4의 성능을 볼 수 있다. 이미지를 올리고, 그걸 해석하는 부분과 실시간으로 검색이 가능한 부분이 가능하게 됐다. 현재는 베타 서비스인 커스터마이징 봇인데 일단 퍼블릭으로 공개해놨다. 아 참, 그리고 가격정보나 식품 관련한 정보도 필요할 것 같아서 미국의 식료품점 크로거(krogge..
· ECO/Ecolife
풀무원이 지속 가능한 식품 브랜드 '지구식단'의 새로운 모델로 가수 이효리씨를 발탁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풀무원이 '바른 먹거리'에 대한 가치를 강조하며, 식품업계에서 드물게 연예인을 모델로 사용하지 않는 전통을 깨고 1984년 창립 이래 처음으로 유명 연예인을 대표 모델로 기용한 것입니다. 이효리씨는 올해 말까지 서울 지하철 강남역과 삼성역을 포함한 다양한 대중교통 및 옥외 광고를 통해 지구식단을 알릴 예정입니다. 또한, 내년에는 새로운 CF 영상과 개별 제품 광고도 선보일 계획이라고 합니다. 지구식단은 식물성 식품과 동물복지 원료를 핵심으로 하는 브랜드로, 지난해 8월 첫 선을 보였습니다. 이 브랜드는 두부면, 두유면, 식물성 숯불직화불고기, 식물성 런천미트 등 30여 종의 다양한 제품을 ..
· AI/Startups
중국의 자율주행 회사인 WeRide가 싱가포르에서 무인 버스 시험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이는 WeRide의 글로벌 확장 노력에서 중요한 단계를 나타냅니다. 자율주행 차량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로 잘 알려진 이 회사는 중국을 넘어 국제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에서의 이번 개발은 WeRide가 글로벌 자율주행 산업에서 주요 업체로서의 야망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WeRide, a leader in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from China, has launched a pilot program for driverless buses in Singapore. This initiative is part of the company's strategy to ..
SANGIO
Tomorrow_La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