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를 돌아보면 지속가능성을 향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한국은 그 속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할 이니셔티브를 수립했다. 그러나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불명예스럽게 ‘오늘의 화석상’을 수상하는 등 재생에너지 정책을 강하게 비판받았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정부의 역할과 계획이 무엇이 있을지 짚어봤다.
신재생에너지: 관성에 대한 투쟁
세계 8위 전력시장인 한국은 재생에너지 전환의 중요한 시점에 서 있다. 현실은 미묘하지만 경제적 위상과 기술력은 재생에너지 전환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우리나라는 약 90%의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믹스는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은 그리드 인프라의 한계로 인해 풍력발전의 낭비, 재생사업 허가 취득의 관료적 복잡성 등을 복합적으로 얽혀있다.
최근의 정책 변화는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를 30.2%에서 21.6%로 축소한 것이 재생에너지 분야의 과제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러한 목표의 축소는 원자력과 액화천연가스(LNG)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려는 계획과 함께 잠재적인 에너지 정책 우선순위의 재조정을 시사한다.
태양 에너지 부문: 조광 지원
태양광 분야도 이러한 도전의 대표적인 예다. 정부가 태양광 입찰자의 용량 할당을 4GW에서 2GW로 축소하기로 한 것은 투자자들이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다. 재생에너지 축소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태양광 PV 입찰 규모가 줄어들고 LNG 설비가 신규로 건설되는 것은 한국 태양광 산업의 미래를 걱정스럽게 만든다.
전기 자동차: 보조금과 성장
한국의 전기 자동차(EV) 부문은 상당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속 가능한 운송 수단으로의 전환에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전기 자동차를 더욱 쉽고 대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매자들에겐 보조금과 기업에겐 장려금을 제공하며 이러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와 기아와 같은 주요 제조업체들은 이러한 정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전기 자동차 판매의 급증을 이끌었다.
하지만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이러한 재정적 지원이 없는 EV 시장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EV 인프라의 어려움, 특히 보다 광범위하고 효율적인 충전 네트워크의 필요성은 분명하다. 충전소를 늘리는 데는 진전이 있지만 불균등한 분배와 충전 속도와 같은 문제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게다가 안전상의 이슈로 다시 하이브리드차의 판매량이 증가하는 등 넘어야 할 허들은 존재한다.
균형 잡힌 접근의 필요성
정부의 역할은 전략적 영향력과 중요한 의사결정에 따라 미래를 위한 발전을 얼마나 이룰 수 있을지 달려있다. 정부의 역할은 전기차 분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재생에너지, 스마트시티, 지속가능한 농업을 아우르는 총체적인 환경 전략이 필수적이다. 정부는 기술적 야망과 생태적, 사회적 지속가능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여 한 분야의 발전이 다른 분야의 발전을 희생시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접근 방식은 기술 발전과 환경, 사회, 경제적 요인을 조화시켜야 한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일관되고 지속 가능하며 포괄적인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다. 성장, 지속 가능성, 기술 혁신 사이의 복잡한 균형을 추구하는 한국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여정은 전 세계 국가들이 직면한 일이다.
'ECO > Clim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1회 기상기후 사진·영상 공모전 개최 (0) | 2024.01.10 |
---|---|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2024 (0) | 2024.01.02 |
AXA IM's Bold Move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quires ClimateSeed (0) | 2023.12.27 |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분말로 전환 성공 (2) | 2023.12.22 |
“기후재난, 이대로 살 수 없다” (0) | 2023.12.07 |